본문 바로가기

공부법!/육아와 자녀교육

제대혈 공부하기(3) 차바이오텍 아이코드 제대혈은행 알아보기

728x90
반응형

아기를 만나기 46일 전


출산을 1달여 앞두고 제대혈은행을 알아보고 있는 예비엄마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출산을 준비하며 예비부모들이 깊이 고민해봐야 할 것은 바로 제대혈은행이라고 생각됩니다


유모차, 장난감, 각종 교육교재 등은
길어야 몇개월~ 1년 정도 쓰면 못쓰게 되는데,

제대혈은 평생 한번, 출생시에만 채취할 수 있고
거의 평생 보관하게 되기 때문이죠.

 
평생 보관하기만 하면 끝일까요?

나중에 아프거나 필요할 때 냉동시킨 제대혈을 해동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제대혈을 보관하거나 사용할수 있는 상태로 만들수 있는 기술력도 중요할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개인적인 능력의 한계상 기술력에 대해 자세한 평가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저는 이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기 때문에, 크게 2가지만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1. 이 기업이 아기가 태어나 성인이 될 때까지 지속가능한 회사일까?

2. 제대혈은행을 운영하고 있는 회사 자체가 이 분야에 전문성이 있고 확장 가능한가?

 
지난 시간에는 메디포스트사의 셀트리 제대혈 은행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차바오텍의 차병원 아이코드 제대혈은행에 대해 알아볼게요

(관련글1) 제대혈 공부하기(1) 보건복지부 제대혈은행 가이드라인
(관련글2) 제대혈 공부하기(2) 메디포스트사의 셀트리 제대혈은행 알아보기
 
 

차바이오텍

차바이오텍은 차병원그룹의 지주회사로서, 줄기세포·면역세포와 관련된 다양한 원천기술로 세포·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이라고 합니다
 
2024년 11월  차바이오텍 IR 자료에 따르면, 
차바이오텍의 사업영역은 총 4개 영역입니다

 

사업의 내용

 
주로 제대혈 보관매출, 유전체 분석 서비스, 의료 IT서비스, 헬스케어 컨설팅 서비스 등으로 매출을 내고 있습니다.

차병원은 일단 난임과 산부인과 분야에서 정말 유명하죠. 차바이오텍 매출액의 많은 부분은 병원에서 나옵니다
 
2024년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은 7,691억원 
영업이익은 -202억원
R&D 비용으로 144억원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매출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1. 병원매출 :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병원매출이 4,769억원(62%)

2. 제품매출(의약품/ 화장품/ 화장품 원료 등)  : 두번째로는 화장품, 화장품 원료 등 804억원(10.5%)

3. 상품매출

의료기기, 의료용품 (2.2%)

4. 서비스 매출

- 제대혈 채취 및 보관 매출 : 111억원(1.44%)
- Bio insurance 서비스 매출 : 40억원(0.52%)
- 연구용역매출 : 45억원(0.58%)
- 서비스매출 : 543억원(7.06%)
- 기타매출(임대매출, 정부 추가 의료수가, 로열티 등) : 1,210억원(15.7%)

(출처) 다트 전자공시 - 차바이오텍 정기공시

 셀트리와는 다르게 전체 매출 실적에서 제대혈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는 않네요



별도 실적으로 2024년 누적 매출액은 391억원으로,

미국 아스텔라스 재생의학센터(AIRM) 기술이전 계약금을 제외하면 전년대비 4% 성장했고, 면역세포 및 줄기세포 보관, 유전체 분석, 헬스케어 IT 사업 등 수익사업 부문이 지속 성장중이라고 합니다.

(출처) 다트 전자공시 - 차바이오텍 정기공시

 
 아이코드 제대혈은행은 자체적으론 크지 않지만
차병원을 통해 다양한 제대혈을 활용한 이식과 치료,  임상실험이 진행되고 있는듯 합니다

홈페이지에서 cha health system을 통한
다양한 이식 사례들을 볼수 있었어요

그렇지만 이 이식사례들이 모두 아이코드 제대혈은행에서 보관했던 제대혈을 이식한 사례인지,

아니면 다른 제대혈 은행에 보관했던 것이나 기증제대혈은행에서 가져온것을 사용한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게 애매하게 되어있네요 ㅎ

 

차바이오텍 아이코드 제대혈 상품

(출처) 차바이오텍 홈페이지

차바이오텍 보관상품의 경우 특징은 


셀트리나 녹십자의 경우 아기 제대혈의 가족 이식 대상을 태아본인, 부모, 형제까지로 한정했는데

아이코드에서는 아기의 할아버지 할머니, 외조부모까지도 이식이 가능하다고 얘기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식 지원금도 위탁자의 신생아를 기준으로 형제, 자매,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까지 지원한다고 합니다.
 

또 다른 업체들은 기증제대혈 지원금 또는 조혈모세포 이식 지원금으로 으로 이식지원비(비용)를 지원하는 반면, 아이코드는 unit(단위)로 지원해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어요.


아무래도 향후 물가상승을 감안한다면 비용을 정해 지원하는것보다는 지원수량을 정해서 지원받는게 소비자입장에서는 합리적일 수 있겠습니다.
 
다만, 조금 마음에 걸리는 점은 셀트리처럼 멀티백 보관이 안 된다는 점, 한번 쓰면 끝이라는 점이 마음에 걸립니다.

(아이코드 상담시 들은 얘기로는 제대혈에서 추출 가능한 세포량이 매우 적기때문에 사실상 한번 쓰면 끝이라 멀티백 보관 필요성이 매우 낮다고는 합니다)
 

차바이오텍 장점

 

1. 국내 유일의 산·학 ·연 ·병(차바이오텍-차의과대학교-종합연구원-차병원 연계) 시스템


줄기세포와 제대혈 관련 기초연구부터 임상실험, 상업화까지 유기적인 협력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2. 세포 관련 다양한 특허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체세포 핵 치환 기술, 탯줄 유래 줄기세포 배양 기술 등 세포 관련 다양한 특허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제대혈의 향후 연구방향과 맞닿아 있는 줄기세포, 면역세포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데

물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도 하네요

(출처) 차바이오텍 홈페이지

 

3. 줄기세포를 직접 이식하는 차병원과 연계

 
아이코드 홈페이지에 따르면,
차병원은 2009년 국내최초로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식해 뇌성마비 환자를 치료하고, 단백질만을 이용한 역분화 줄기세포를 확립하는데 성공했다고 해요

2013년에는 세계 최초로 타인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용한 뇌성마비 치료에 성공했고, 

그 외에도 배아줄기세포나 성인체새포 등을 이용하여 노인성 황반변성, 근시성 망막변성 등... 다양한 치료제의 임상 승인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아직 실제 임상 결과가 승인된 것은 많지 않은 것 같고, 아직 대부분의 연구가 ing 인것 같네요, 이건 사실 이쪽업계 많은 회사들이 마찬가지..)
 

4. 난자은행 운영


제대혈 보관 은행 뿐만 아니라 차병원 난임센터에서 난자은행까지 운영하고 있고,

바이오인슈어런스로 면역세포 보관사업도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쪽 분야(세포동결 및 보존 활용) 등 서비스 제공에 특화되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코드 단점?, 신경쓰이는 점

 
1. 각종 가입기념 선물, 이벤트 하는 이유는 뭘까

아이코드의 보관상품은 셀트리보다 조금 저렴하다고 느껴지는 가격인데, 

게다가 1월 이벤트로 가입선물까지 줍니다.

가입 선물도 그냥 소소한 것들이 아닌, 로얄센츄리(70년, 350만원) 상품을 가입하면 폴딩유모차/테이블소파/힙시트 아기띠/ 분유포트 등을 주는데 뭔가... 왜 주지? 하는 생각이 드는 고가의 상품들이예요

서비스의 가치와 아이코드가 가진 제대혈 은행의 특장점을 어필하는데 중점을 두는게 아니라 마케팅이 가격과 사은품, 그리고 보관시 혜택(이식지원금) 등에 쏠려있는 것 같아서 

저같은 경우는 오히려 이벤트 상품과 공격적인 마케팅때문에 조금 더 주춤하게 됩니다.
 

2. 과거 차병원 제대혈 무단 사용 이슈


과거 2016~2017년 국정농단 사태 시기 도드라졌었던 이슈로 기업 이미지에 타격을 입은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보건복지부에서는 국가기증제대혈은행 지위를 박탈하고 지원된 예산을 환수하기로 결정했었다는데요..

이후 경찰 수사결과 제대혈 시술을 한 집도의는 의료법 위반 행위로 처벌되었으나 회장 일가는 직접적인 처벌을 받지 않았었다고 하네요.

이런 큰 일도 있었고, 세월이 오래 지난 일이니 다시는 그럴일이 없게 잘 하겠지 생각이 들면서도 조금 찜찜한 마음이 듭니다.

 

최근 이슈


차바이오텍은 최근 (2024.12월) 시가총액 40%에 달하는 대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했는데요,

조달자금을 차헬스케어와 마티카홀딩스 증권취득, 판교제2테크노밸리에 위치한 위탁개발생산 (CDMO) 신규시설과 사업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국내에서 제대혈 은행은 운영된지 아직 29년차인 사업으로 가장 초창기 시절 제대혈을 보관한 아가가 아직 30살이 되지 않았다고 하네요. 


그래서 아직까지는 희귀 난치병, 그리고 줄기세포와 면역세포를 활용한 질환에 얼마나 유용하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임상결과가 드라마틱하게 나오고 있지는 않지만

보험 가입한다는 마음으로 준비해보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음번엔 GC녹십자에서 운영하는 녹십자 제대혈 은행에 대해 알아볼게요

 

(다음 글) 제대혈 공부하기(3) 녹십자 제대혈은행 지씨셀(GC CELL) 알아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