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원에 살아요/부동산 이야기

11월 16일 지구단위계획구역 결정! "광운대 역세권 개발사업" 내용 살펴보기

728x90
반응형

2023.11.16.(목) 광운대 역세권 개발의 지구단위계획이 결정 ·고시되었다. 
관련 내용은 서울시보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파 출처를 남긴다.
https://event.seoul.go.kr/seoulsibo/list.do

서울특별시청

서울특별시청

event.seoul.go.kr

 
제3929호를 보면 된다.
(광운대역세권 관련 내용만 뽑아낸 파일이 필요한 분은 구독 후 댓글로 메일주소 남겨주시면 보내드리겠음)

 
그럼 내용을 한번 살펴볼까
#지구단위계획이란?https://mimi-mimi.tistory.com/27

지구단위계획이 뭘까? 지구단위계획구역이란?

지구단위계획의 의미를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부동산 투자 전략 중 하나는 잠재적으로 발전 가능성이 많은 지역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 가능성은 지역과 투자자의 시각에 따

mimi-mimi.tistory.com

 
■ 주요 내용 
1. 노원구 월계동 85-7번지 일원의 광운대역 물류부지 156,581.6㎡ 를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결정

2. 용도지역을 당초 일반상업지역(154,631.9 ㎡ )+제3종 일반주거지역(1,949.7 ㎡)에서 일반상업지구 일부를  3종주거지역과 준주거지역으로 변경함. 

 
3. ★ 광운대역 서쪽 ↔ 미미삼 ↔  한천교 ↔  공릉역을 차량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폭20~22m의 도로 신설
4. 미미삼 주민들이 광운대역에서 아파트로 건너갈 수 있는, 광운대역세권 개발 완료시 복합용지와 상업용지를 자유롭게 오고갈 수 있는  도보전용도로 추가 2개소 신설

 
5. 이마트 월계점에서 끊겨있는 경춘선 숲길을 한진한화그랑빌과 석계역 인근까지 연장

6. 광운대역세권 개발계획은 ?

 ● 유통업무설비(핑크색) : 철도화물역 면적 감축, 화물적치용시설 및 창고 야적장 등을 철거, 도매시장 면적을 감소시키고, 대규모점포 면적이 증가하였음

 ● 공공용지(A-1, 파랑색) : 준주거지역으로서 공동주택, 근생, 업무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용도로 허용됨
     용적률은 인센티브 계획에 따라 310%이하로 허용하며, 공공기여계획 준수 시 400%를 상한으로 한다. 

 
 ● 상업업무용지(B-1, 다홍색) : 일반상업지역으로서 (지정용도) 관광숙박, 1·2종 근생, 업무시설(오피스), 판매시설, (허용용도) 관광숙박시설, 의료/교육연구시설, 운동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등이 허용됨
용적률은 인센티브 계획에 따라 390%이하로 허용하며, 공공기여계획 준수 시 600%를 상한으로 한다. 

승무사업소용지(B-2, 황토색) : 준주거지역으로서 업무시설(오피스) 사용이 권장되나, 공동주택(아파트, 기숙사), 철도시설, 1·2종 근생 등으로 사용하는 것도 허용
용적률은 인센티브 계획에 따라 310%이하로 허용하며, 공공기여계획 준수 시 400%를 상한으로 한다. 

 복합용지(C-1, 노랑색) : 준주거지역으로서 문화 및 집회시설, 1·2종 근생, 판매시설, 업무시설, 운동시설 등으로 용도를 지정하였음.
용적률은 인센티브 계획에 따라 310%이하로 허용하며, 공공기여계획 준수 시 400%, 증가용적률의 50% 공공임대주택 제공 시 500%를 상한으로 한다.

덧1) 이 외 인센티브 대상이 되는 공공기여 항목은 아래와 같음

덧2) 임대주택 조성비율은 아래와 같음

 
미미삼 주민으로서 가장 반가운 일은
1번) 광운대역 서쪽으로 연결되는 차량, 도보 접근성이 개선되었다는 것과,
2번)경춘선 숲길 연장,
3번) 광운대역 동쪽 부지 내 상업시설, 편의시설 등이 도입된다는 점이다.(그 와중에 단란주점같은 유해시설은 쏙 빠진다는 점도 매우 마음에 든다)
 
광운대 역세권 개발사업 일정은 이렇게 진행될 예정이라고 한다. 이제 실시설계를 거쳐 2024년 하반기 착공, 2029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할 예정이다.
 
2029년 사업 종료 목표면 이제 2026년 말 정도면 조닝의 변화나 도로 개통 등 가시적인 성과가 눈에 보이기 시작하지 않을까.

광운대 역세권 개발사업 개요

그리고 광운대역 인근지역도 이렇게 변화중이다(장위뉴타운도 색깔이 칠해져야 할것같은데..)

광운대역 인근 개발 추진현황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은 본PF에 1조원을 달성해서 내년 2월에 착공한다고 하고,
https://dealsite.co.kr/articles/113051

대우건설, 동부간선 지하화 1조원 본PF 조성 - 딜사이트

에쿼티 포함 총 1.2조 사업비로 투자…내년 2월 착공

dealsite.co.kr:443

 
(이 속도는 쉽지 않을것 같지만) <GTX-C>도 연내 착공한다고...하고
https://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84230

백원국 국토부 2차관, “연말 GTX-C 착공, 내년 A노선·B노선 착공 차질 없어야” - 국토일보

[국토일보 김현재 기자]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최근 서울역 인근 GTX-B노선 재정 구간(용산~상봉) 합동 설계사무소를 방문해 GTX-B 사업추진현황을 점검했다.백 차관은 GTX-B 점검회의에서 “

www.ikld.kr

 
동북선도 2026년 7월 개통 목표로 공사를 잘 진행중이라고 한다.

 
미미삼도 광운대역세권 개발계획에 맞추어 재건축 절차를 착착 진행해야 할텐데, ㅎㅎ..어떻게 하고 있으려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