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이야기/나의 투병기

항암제(글리백)을 복용하면 불임 · 기형아를 출산한다고?

728x90
반응형

2023년 2월부터 글리백을 1달 정도 복용한 후에서야
이 약을 먹는 기간(최소 3년간)은 아이를 가지면 안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대학병원 교수님들을 여기 저기 찾아다니는 과정에서 복약지도를 제대로 못 받기도 했지만
복약설명서를 읽어보지도 않고 마치 감기약 먹듯 복용한 나의 잘못도 있는 것 같다.
(만약 사전에 알았으면 난자를 냉동시키는 것도 고려했을듯)
아래는 글리백 약 상자 안에 있는 복약안내문의 일부이다.
 
※ 제목에 대한 결론은, 불임이나 기형아 출산의 가능성이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약 복용시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간단 요약> 글리벡이 가임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① 임신부 : 시판 글리벡을 복용한 여성에게 자연유산 및 선천적 유아 기형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었음(임상결과는 없음)
  - 가급적 임신중에는 투여해서는 안됨

② 산모가 복용하는 글리벡의 10%정도가 태아에게 노출됨, 영유아가 저용량의 글리벡에 노출되었을때의 임상결과가 보고된바 없으므로 수유를 하지 않는 것이 좋음

③ 여성은 약 복용중, 복용종료 후 최소 15일 이상 피임해야 함. 남성에 대한 연구는 시행되지 않았음.

 
■ 임부, 수유부 및 가임여성에 대한 투여
1) 임부
 ① 시판 후 보고 및 동물생식시험 결과에 근거하여, 이 약은 임부에 투여 되었을 때 태아에 해로울 수 있다. 이부에 대한 이 약의 사용에 관한 임상시험은 없다. 이 약을 투여받은 여성에서 자연유산 및 선천적 유아 기형의 시판 후 보고가 있었다. 이 약은 유익성이 태아에 대한 잠재 위험을 상회하지 않는 한, 임신 중에 투여되어서는 안 된다, 만약 임신 중에 투여된다면 환자에게 태야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을 알려야 한다, 

[신문기사/뉴시스, 2008.3.7.] 임신중 항암제 글리벡 복용 '기형아' 출산 위험

7일 '혈액학저널'에 텍사스대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결과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로 흔히 사용되는 글리벡으로 치료를 받은 임신 여성이나 임신예정인 여성의 경우 태아 기형 발병 위험이 높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과거 동물실험결과 나타난 것과 유사한 기형이 12명의 영아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글리벡이 기형아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1992762?sid=102

임신중 항암제 글리벡 복용 '기형아' 출산 위험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만성골수성백혈병을 앓는 산모에 있어서 임신 중 항암제 글리벡 치료가 태아 기형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 ...

n.news.naver.com

 
 ② 랫드(실험용쥐)의 기관형성기에 이메티닙 100mg/kg이상용량(체표면적을 기준으로 하면 이메티닙 800mg/day 임상사용량과 거의 동일)을 투여했을때 최기형성*을 나타냈다. 뇌탈출, 뇌헤르니아, 전두골 감소나 무전두골 및 무측두골 등이 나타났다.

*최기형성 : 태아기에 작용하여 장기(臟器)의 형성에 영향을 주어 기형이 되게 하는 성질. 방사선, 바이러스, 약물 따위가 이런 성질을 보인다.

또한 이매티닙 45mg/kg 이상 용적(체표면적을 기준으로 하면 인간최대용량인 이매티닙 800mg의 1/2)을 투여한 암컷 랫드에서 유의성 있는 착상 후 소실(초기 태자 흡수의 형태, 사산, 자기힘으로 생존할 수 없는 새끼, 분만 후 4일 이내의 초기 사망)을 나타냈다. 이메티닙 100mg/kg 초과 용량에서는 모든 동물에서 태아소실이 나타났다. 이매티닙 30mg/kg이하 용량(최대 인간용량인 이메티닙 800mg의 1/3)에서는 이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③ 암컷에 임신 후 6일부터 이유기까지 이매티닙 45mg/kg(체표면적을 기준으로 하면 인간 최대 인간용량인 이매티닙 800mg의 1/2)을 노출시킨 후에 출생한 암컷 및 수컷 랫드에 거의 2개월 동안 이매티닙을 노출시키지 않았다. 이들은 출생 후부터 부검하기 전까지 체중이 감소하였다. 비록 이 동물들을 교배시킬 때 수태능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태아 소실이 관찰되었다.
 
2) 수유부
이매티닙과 그 활성대사체는 모두 사람의 모유 중으로 분포될 수 있다. 모유와 혈장 중의 비율은 이매티닙에서 0.5, 그 대사체에서 0.9로서, 이는 대사체가 모유 중에 더 많이 분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매티닙과 그 대사체가 합쳐진 농도 및 영유아의 일일 최대 모유 섭취량을 고려할 때, 전체 노출은 치료용량의 약 10%로 예측된다. 영유아가 이매티닙 저용량에 노출되었을 때의 영향을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약을 복용하는 여성은 수유를 하지 말아야 한다.
 
3) 가임여성 및 수태능에 미치는 영향
가임여성의 경우 이 약으로 치료를 시작하기 전 임신 검사를 해야 하며 이 약으로 치료받는 기간 및 이 약 중단 후 최소 15일간 효과적인 피임법(임신율 1% 미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약을 투여받는 남성환자에서 수태능 및 정자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이 약 치료를 받는 환자 중 불임에 대해 우려가 있는 남성환자는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초기 배아 발달 및 비임상 시험에서 고용량을 투여한 수컷 랫드에서 비록 작은 고환, 부고환 무게 감소 및 운동성 정자수 감소가 관찰되었지만, 수태능의 경우는 영향이 없었다. 랫드의 출생전후 연구에서 1세대의 수태능은 이 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글리벡 장기복용 여성 불임 위험 - 코메디닷컴

백혈병 치료제로 사용되는 글리벡을 장기 복용한 여성은 불임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리스 아테네 아말리아플레밍종합병원의 콘스탄티누스 크리스토폴로스 박사팀은 글리벡이

kormedi.com

 

반응형